파이썬에서 리스트는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. 리스트는 대괄호 []로 감싸고, 요소는 쉼표 ,로 구분합니다. 예를 들어, my_list = [1, 2, 3, 4, 5]는 숫자 1, 2, 3, 4, 5를 포함하는 리스트입니다.
리스트 생성
# 빈 리스트 생성 empty_list = [] # 값이 있는 리스트 생성 my_list = [1, 2, 3, 4, 5] |
리스트 사용
# 요소 접근 (인덱스는 0부터 시작) first_element = my_list[0] # 1 second_element = my_list[1] # 2 # 리스트 길이 확인 length = len(my_list) # 5 # 리스트에 요소 추가 my_list.append(6) # [1, 2, 3, 4, 5, 6] # 리스트에서 요소 제거 my_list.remove(3) # [1, 2, 4, 5, 6] # 특정 인덱스의 요소 제거 del my_list[1] # [1, 4, 5, 6] # 리스트 슬라이싱 (부분 리스트 추출) sub_list = my_list[1:3] # [4, 5] |
예제
# 리스트 생성 및 요소 추가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 fruits.append("orange") # 요소 접근 및 출력 print(fruits[0]) # apple print(fruits[2]) # cherry # 리스트 슬라이싱 print(fruits[1:3]) # ['banana', 'cherry'] # 리스트 길이 출력 print(len(fruits)) # 4 |
# 리스트 길이 출력 예제
print(len(fruits)) # 4
# 리스트 생성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 # 리스트에 요소 추가 fruits.append("orange") # 리스트의 길이(요소의 개수)를 출력 print(len(fruits)) # 4 |
설명
-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: fruits라는 리스트를 생성하고, 그 안에 "apple", "banana", "cherry"라는 세 가지 요소를 넣습니다.
- fruits.append("orange"): fruits 리스트에 "orange"라는 요소를 추가합니다. 이제 fruits 리스트는 ["apple", "banana", "cherry", "orange"]가 됩니다.
- print(len(fruits)): len(fruits)는 fruits 리스트의 길이, 즉 요소의 개수를 반환합니다. 현재 fruits 리스트에는 네 가지 요소가 있으므로 len(fruits)는 4를 반환합니다.
- print(len(fruits)): 따라서 print(len(fruits))는 4를 출력합니다.
요약
- len()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 개수를 반환합니다.
- fruits 리스트에 네 개의 요소가 있으므로 len(fruits)는 4를 반환하고, print(len(fruits))는 4를 출력합니다.
이해를 돕기 위해, 각 단계를 실행해보세요:
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 print(len(fruits)) # 3 fruits.append("orange") print(len(fruits)) # 4 |
'파이썬로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리스트 자료형, 리스트 연산하기 (0) | 2024.06.23 |
---|---|
파이썬 리스트 자료형,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(0) | 2024.06.23 |
파이썬 자료형, 숫자형 그리고 나눗셈 후 몫을 리턴하는 // 연산자까지 (0) | 2024.06.23 |
파이썬 기초, 자료형 data type 문자열 만들기부터 (3) | 2024.06.21 |
파이썬 텍스트 에디터 IDLE 개발 전용 폰트 D2Coding 설정하기 (1) | 2024.06.14 |